자바를 공부해 보자

자료형, 변수 및 상수 소개

자바

자료형, 변수 및 상수 소개

 

 

 

 

 

 

기본형, string형 먼저 배우자!

 

 

 

기본자료형 (primitive data type)

 

 

2) 자바 기본 자료형

 

 

 

 

 

 

3) 변수 (variable)

 

 

변수란?

-> 프로그램에 전달되는 정보나 그 밖의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함

 

 

-> 즉, 상수를 기억시킬 수 있는 기억공간

 

 

 

^ cpu가 쉬운 코드로 바꾸어 줌 (입력하는 공간)

 

RAM 기억하는 공간

 

위치 -> 변수

 

 

 

 

 

 

[변수선언]

 

자바가상머신 (JVM)에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, 메모리를 할당해 달라고 부탁하는 것

 

(주소를 달라)

 

 

변수선언 데이터형 (자료형)변수명;

 

[변수 선언 시 주의사항]

 

* 숫자로 시작하면 안됨

(하지만 뒤에는 올 수 있다)

 

* 특수문자는 들어갈 수 없음

(예외 _, $는 들어올 수 있음)

 

*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음

 

* 첫글자 영문 소문자

 

 

 

 

 

4) 자료 선언과 할당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= 대입연산자

 

[1] 정수형 - byte , short ,int long

* 정수형에는 byte, short , int , long {기본 자료형}

 

* 이들을 크기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음 ( 단위 : byte)

 

byte <short < int <long

1        2        4        8

 

 

 

 

[2] 실수형 - float, double -> 기본자료형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[3] 논리형 - boolean

* true와 false만 가짐

* boolean a =true ;    ("true"아님)

 

 

 

[4] 문자형 -char        // 한글자

 

* 할당되는 값은 ' ' 에 들어감 2byte

 

* char a='A';

 

 

 

[아스키코드 표]

 

 

 

 

 

 

ASC

 

 

 

 

48 = 0

65 = A

97 = a

 

정도만 알아두고 계속 해서 볼 것!

 

 

 

[5] 문자열= String

문자열을 쉽게 문자의 연속

 

-> 자바에서는 " " 로 묶어서 ㅛ현

 

 

예시 문자열의 예

 

String name = "kim min hee";

String hi = "Hi !!";

String = name + hi ;

 

 

 

 

5) 형변환 (type conversion)

 

자바는 독자적인 형변환 변수형을 제공하지 않음

따라서

 

형변환을 하려면 명시적으로 이를 지정해야

 

cast연산자를 사용함

 

 

 

data 사이즈의 순위

 

byte < short < int < long < float < double

 

 

 

 

 

demotion 강제 형 변환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promotion 작 -> 큰

 

형변환시 데이터타입이 큰사이즈로 이동

자동적으로 가능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demotion 큰 -> 작

 

작은 사이즈로 이동,

강제로 지정해야 함

 

 

 

cast연산자 사용 !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

 

 

6) 형변환 예제

 

 

예시 예제1

 

long no = 99l;

 

 

정수형 long a = 10L; ( l을 꼭 써주어야 함)

 

 

 

float a = 10.4f ; ( f 꼭 붙여 주어야 함)

 

 

데이터 타입에서 short와 char는 둘 다 16비트이긴 하지만 그 데이터 범위가 다르기 떄문에 반드시 형변환을 해야 함

 

 

char 음수표현을 못하기 때문에 !!!!!

 

 

byte a = 10;

char b = (char)a;

chort c = (short)b ;

char d = (char)c ;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package aaa;

 public class cc01 {

  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 ) {
  
   
   byte a1 =100;
   double a2;
   
   a2=a1; // 큰 자료형 = 작은 자료형 할당 가능
  
   System.out.println("byte형:"+a1);
   Systme.out.println("double 형 :"+a2);
  
    
  
 double b1=100.5;
 byte b2;
 //b2=b1; // 작은 자료형 = 큰 자료형 불가능
 
  b2 = (byte)b1; // 형 변환 (casting)
 System.out.println("double형:"+b1);
  System.out.println("byte형:"+b2);
   
   
   byte c1=(byte)300;
   System.out.println("byte형:" +c1);
   
  char ch =(char)65;
  char ch2=(char)66;
  char ch3=(char)67;
  char ch4=(char)97;
  char ch5=(char)98;
   
  System.out.println(""+ch);
   System.out.println(""+ch2);
   System.out.println(""+ch3);
  System.out.println(""+ch4);
   System.out.println(""+ch5);
   
   
   //상수를 쓸때는 항상 대문자를 쓴다.
   
   
  
 }

}

 

 

 

 

7 ) 상수

 

상수랑? -> 변하지 않는 값, 특정한 값이나 의미가 있는 값

 

 

상수선언 예

 

 

public static final double PI = 3.141592 ;  // 상수일 떈 대문자로 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제어문  (0) 2018.09.10
자바 연산자  (1) 2018.09.09
자바 기본 입출력  (0) 2018.09.08
2. Java 개발 환경 구축  (0) 2018.09.08
JAVA 프로그래밍 소개  (0) 2018.09.08